【베이비뉴스 전아름 기자】
겨울은 허리디스크 등 관련 질환자의 통증이 심해질 수 있다. 기온이 강하하며 근육과 혈관이 수축하고 혈액순환이 저하하기 때문이다.
우리의 허리는 몸의 중심부에 위치해 앉거나 서고, 걷고 뛰는 등 모든 신체 움직임에 관여한다. 만약 해당 부위에 예기치 못한 외상이나 내부 손상으로 허리통증이 발생한다면 일상에 다양한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허리 통증 유발 요인은 근육 손상이나 인대와 척추 뼈 사이를 잇는 추간판, 즉 디스크 파열이나 약화 등이 있다. 관절, 인대 등의 손상으로 염좌가 생겨 통증이 나타나기도 한다. 급격한 신체 움직임에서 기인하기도 하므로 겨울철엔 운동 전 스트레칭이 필수다.
허리디스크도 주의해야 한다. 디스크 질환은 주로 퇴행으로 골 변화가 두드러지는 중년 이후 연령대에서 발병했으나, 최근엔 젊은층 환자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대개 20대가 넘으면 추간판 변성이 시작돼 섬유륜의 탄성이 감소하고 균열이 생긴다. 노년기 전까진 추간판 수핵이 충분한 수분과 탄력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별다른 통증이 없지만, 바르지 못한 자세로 앉아 오래 근무하거나, 활동성이 많은 20~30대의 경우 문제가 생기기도 한다.
김덕수 성남 으뜸병원 원장은 “디스크의 문제가 아니라고 할지라도 과격한 움직임은 요통을 만드는 주원인 중 하나이다. 즉각적인 통증이 느껴지지 않거나 정도가 심하지 않더라도, 일상에서 불편감을 지속적으로 느낀다면 방치하지 말고 병원을 방문해 정형외과적 진단으로 통증의 원인과 정도 등 증상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권장된다”고 말했다.
이어 “허리 통증의 정도는 환자마다 다를 수 있기에 X-ray 영상과 MRI 검사 등으로 정확한 상태를 파악해야 한다. 일시적인 요통이 아닌 질환으로 인한 원인성 통증에 해당한다면, 이를 개선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주사 및 물리치료 등의 비수술적 치료 방법을 시행하게 된다. 하지만 증세가 심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통해 개선을 도모한다”고 덧붙였다.
김덕수 원장은 “이처럼 검사 후 대처방법이 다르기에 경험이 풍부한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통해 치료계획을 세우는 것이 보다 만족스러운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다”고 조언했다.
<출처>
허리디스크 통증 심해진다면 정형외과 진단·치료 필요
【베이비뉴스 전아름 기자】 겨울은 허리디스크 등 관련 질환자의 통증이 심해질 수 있다. 기온이 강하하며 근육과 혈관이 수축하고 혈액순환이 저하하기 때문이다. 우리의 허리는 몸의 중
im.newspic.kr
'FEELM의 관심분야 뉴스 수집 > 건강·보건·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먹는 코로나 치료제 긴급사용승인 검토 착수 (0) | 2021.12.23 |
---|---|
다음달까지 코로나19 병상 1만개 추가…군의관 등 투입 (0) | 2021.12.23 |
허리-하체 자주 시큰대고 쑤실 때 (0) | 2021.12.20 |
노년 근감소증 걱정? OO과 OO으로 극복 가능 (0) | 2021.12.20 |
앤서니 파우치 "오미크론, 맹위 떨치며 몇 달 동안 힘든 겨울 될 것" (0) | 2021.12.20 |
댓글